통계학의이해(7)
-
[K-MOOC 통계학의 이해 1] 10-3 다항분포, 10-4 확률분포 실습
10-3 다항분포 10-4 확률분포 실습 #과제 1 #일란성 쌍둥이가 나올 확률은 0.003, 500명을 무작위로 선택했을 때 #⊙ 한 명도 없을 확률은? n
2022.08.28 -
[K-MOOC 통계학의 이해 1] 9-3 초기하분포, 9-4 확률분포 실습, 10-1 포아송분포
9-3 초기하분포 초기하분포 - 크기가 N인 모집단이 크기가 M과 N-M인 두 개의 부모집단 (A,B)로 나눠진 경우 -> 유한모집단 - n개의 표본을 '비복원'으로 추출할 때, 부모집단(A)에서 추출될 표본 수의 분포 -> 각 표본의 추출과정은 독립적이지 않음 9-4 확률분포 실습 ###과제 1: 항암의 완치율 #어느 제약회사에서 새로운 항암제를 개발하여 항암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거의 같은 상태의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환자 중 12명의 환자가 완치되었다고 하자. #① 해당 상태의 환자에 대한 실제 완치 확률이 0.55였다면, 해당 결과를 얻을 확률을 구하여라. #② 완치 확률이 0.1, 0.2..., 0.9 일 때 해당 결과의 확률을 구하고 가장 높은 확률일 때의 완치 확률을 선택하여라..
2022.08.23 -
[K-MOOC 통계학의 이해 1] 9-1 베르누이 시행과 확률변수, 9-2 이항분포
9-1 베르누이 시행과 확률변수 베르누이 실행 (1)각 실험에서 발생 가능한 결과는 단 2가지 ex.(성공, 실패), (앞면, 뒷면) (2)각 실험이 독립적으로 수행 (3)모든 실험에서 결과의 확률은 항상 동일 9-2 이항분포 이항분포 - 성공할 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실험을 n번 반복했을 때, 성공 횟수 (X)의 분포 *강의의 모든 내용을 적은게 아닌, 정리하며 눈에 보이는 것만 후딱 요약해 적은겁니다. 강의도 무료이니 여인권 교수님의 강의를 직접 들어보길 추천해요! 모든 내용 출처 : http://www.kmooc.kr/courses/course-v1:SookmyungK+SM_sta_004k+2019_03SM_02/course/#block-v1:SookmyungK+SM_sta_004k+2019_03SM..
2022.08.17 -
[K-MOOC 통계학의 이해 1] 4-4 기술통계 실습 및 과제, 5-1-1 확률이란?(1), 5-1-2 확률이란?(2)
4-4 기술통계 실습 및 과제 #과제 #1.타이타닉호 예제에서 생존율 대신 사망률을 이용하여 정리하여라. titanic
2022.08.03 -
[K-MOOC 통계학의 이해 1] 4-2 비교그림과 산점도, 4-3 공분산과 상관계수
4-2 비교그림과 산점도 1.산점도 - 자료구조 : 수치자료 + 수치자료 - 순서쌍 자료(x,y)를 2차원 평면상에 점으로 표시한 그림 - ex. - 산점도 행렬 : 3개 이상의 수치변수에 대해 두 변수씩 쌍으로 조합하여 산점도를 행렬형태로 표시 2.시계열자료 : 시간에 따라 수집된 자료 - 순서 파악을 쉽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관측 순으로 관측값들을 선으로 연결 - ex. 4-3 공분산과 상관계수 1.공분산 :두 수치변수 간 직선관계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통계값 2.상관계수 - (표본)공분산의 문제점 : 측정 단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값 자체로 선형관계의 정도를 알 수는 없음 - 사용 시 주의할 점 : 두 변수 간에 직선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낼 뿐 '인과관계'를 나타내는 것은 아님!(∵숨겨진 ..
2022.08.03 -
[K-MOOC 통계학의 이해 1] 2-3 수치 자료 정리, 2-4 기술통계 실습 및 과제
2-3 수치 자료 정리 1. 수치자료에 대한 도수분포표 - 자료의 값이 몇 개로 한정된 경우에는 값을 범주로 처리 -ex. -> 딸이 많은 가구는 34.67%(아들 수가 1~5인 누적 상대도수) -> 아들이 많은 가구는 100 - 56.63(아들 수가 1~6인 누적 상대도수) = 43.37% 2.범주화 - 계급의 수와 경계값 결정 -> 자료의 특성, 구조를 고려해 분석자가 선택한다 - ex. 3.점도표 - 각 관측값의 위치에 점을 표시하고 같은 관측값이 있는 경우 위로 누적 4.히스토그램 - 수치자료, 특히 연속자료의 분포형태를 표시 - 히스토그램 vs 막대그래프 -> 구간이 같다면 차이가 없고, 구간이 다르다면 차이가 존재 -> 밀도 = 상대도수 / 계급구간길이 -> 히스토그램은 전체 면적이 1 5. ..
2022.07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