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회계원리 김현식T] 6-3 유형자산의 감가상각, 6-4 유형자산의 재평가, 6-5 무형자산

2022. 8. 23. 22:47CPA/회계원리

6-3 유형자산의 감가상각

감가상각

-내용연수 : 합리적으로 추정

-잔존가치 : 내용연수가 끝난 뒤 받을 수 있는 금액

 

감가상각방법

 

 

6-4 유형자산의 재평가

재평가모형의 선택

- 원가모형 or 재평가모형

- 원가모형 : 감가상각만 하는 방법

- 재평가모형 :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방법

 

재평가의 빈도 및 재평가대상 유형자산의 분류

- 재평가의 빈도는 재평가되는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에 따라 달라진다

- 당해 자산이 포함되는 유형자산 분류 전체를 재평가한다

- 동일한 분류 내의 유형자산은 동시에 재평가한다. 그러나 재평가 해야 할 개수가 많은 경우 동일한 분류에 속하는 자산을 순차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다

 

재평가의 회계처리

- 재평가잉여금 : OCI(자본)

- 재평가이익 : 수익(수익)

- 재평가손실 : 비용(비용)

 

 

 

6-5 무형자산

무형자산

- 모양이 없다고 모두 무형자산이 될 수 없음

 

- 조건

1. 식별가능성(=존재감)

2. 기업이 통제

3. 미래 경제적 효익

 

- 유형자산 : 감가상각 <-> 무형자산 : 상각

 

- 잔존가치 = 0

 

- 내용연수가 비한정(명확하지 않은)인 경우 -> 상각 X

 

- 합리적인 감가상각법이 뭔지 모르겠다 -> 정액법 사용

 

- default : 직접차감

 

영업권

- '매력'

- 사고팔 수 없어 식별가능성이 없지만 특별히 무형자산으로 인정된 사례

 

 

 

*이건 제가 오늘 하루 이 정도 공부했다는 단순한 기록으로 강의노트 및 내용 전체를 작성한게 아닙니다.

중요하지만 생략된 내용들이 아주 많으니 뭔가 얻으려하지 마시고 강의를 직접 사서 들으시길 추천드려요!

내용 출처 : 나무경영아카데미 김현식